맨위로가기

마그레브 아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그레브 아랍어는 "일상/구어 방언"을 의미하며,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랍어의 여러 변종을 통칭한다. 이 언어는 알제리, 튀니지 등 각 지역에서 고유한 명칭으로 불리며, 이슬람 세력의 마그레브 정복으로 아랍어가 전파된 후 베르베르어, 포에니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방언끼리는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멀리 떨어진 방언 간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에서 어휘를 차용하며 현대 표준 아랍어와는 문법적, 음운론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 아랍어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중동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동의 절대 군주국으로, 와하비즘에 기반한 이슬람 교리를 국가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석유 매장량을 기반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뤘지만, 사회적 불평등과 인권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 중동 - 이집트
    이집트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하며 고대 이집트 문명의 발상지이자 아랍 세계의 주요 국가로,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문명이 발달하여 피라미드 건설 등 눈부신 문화를 꽃피웠고, 이후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52년 혁명 이후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마그레브 아랍어
언어 정보
이름마그레브 아랍어
다른 이름다리자
서부 아랍어
북아프리카 아랍어
로마자 표기al-lahja l-maghāribiyya
사용 지역마그레브
사용자 수약 8,824만 3,900명 (2020–2022년)
사용 민족마그레브 아랍인
마그레브의 다른 민족 (제2 언어로 사용)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앙셈어군
아랍어
방언알제리 아랍어
모로코 아랍어
리비아 아랍어
튀니지 아랍어
하사니아 아랍어
알제리 사하라 아랍어
시칠리아 아랍어 (몰타어로 존속)
안달루시아 아랍어 (사멸)
방언 연속체:
힐랄 방언
힐랄 이전 방언
문자아랍 문자
라틴 문자
ISO 639-1해당 사항 없음
ISO 639-2해당 사항 없음
ISO 639-3arq - 알제리 아랍어
xaa - 안달루시아 아랍어
mey - 하사니아 아랍어
ayl - 리비아 아랍어
mlt - 몰타어
ary - 모로코 아랍어
aao - 사하라 아랍어
sqr - 시칠리아 아랍어
aeb - 튀니지 아랍어
Glotto 코드nort3191
Glottolog북아프리카 아랍어

2. 명칭

'다리자'(Darija), '데리자'(Derija) 또는 '델자'(Delja)(الدارجة|알다리자ar)는 "일상/구어 방언"을 의미하며,[7] 마그레브 아랍어의 모든 변종을 통칭한다. 알제리튀니지에서는 해당 지역의 마그레브 아랍어를 직접 언어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알제리 아랍어는 '자이리'(Dzayri)로, 튀니지 아랍어는 '투운시'(Tounsi)로 불린다.

반면에, 이집트, 요르단, 수단과 같은 동부 아랍 국가의 구어체 방언은 일반적으로 العامية|알-아미야ar로 알려져 있다.

3. 역사

수세기 동안 마그레브 지역이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받으면서, 아랍어가 널리 쓰이고 발전했다. 유목민의 베르베르어와 함께 산발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하나는 7~8세기 아랍 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 시기 도시 아랍인에게서 유래한 힐랄 이전 아랍어이고, 다른 하나는 11~12세기 바누 힐랄, 바누 술라임, 마킬 등 베두인 아랍어 부족이 가져온 힐랄 아랍어이다.[8]

아랍어는 7~8세기 라시둔과 우마이야 정복을 통해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이 시기 약 15만 명의 아랍인이 마그레브에 정착했다.[11][12][13] 아랍화는 도시뿐 아니라 아랍 중심지와 주변 농촌 지역에서도 이루어졌지만, 농촌 지역의 아랍화는 11세기 힐랄 침공까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8] 11세기 바누 힐랄과 바누 술라임은 베두인 아랍어를 마그레브에 도입하여 베르베르인의 상당수를 아랍화했다.[10] 약 100만 명의 아랍인이 이주하여 인구 상황과 생활 조건을 바꾸었고, 사하라 인근 남부 지역까지 베두인 아랍어를 확산시켰다.[8][14]

3. 1. 기원과 발전

마그레브 아랍어는 7세기와 8세기 아랍 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으로 아랍어가 이 지역에 전파되면서 시작되었다.[8] 초기에는 도시 아랍인을 중심으로 힐랄 이전 아랍어가 형성되었다.[8] 이 시기 라시둔과 우마이야 정복을 통해 약 15만 명의 아랍인이 마그레브에 정착했다.[11][12][13]

11세기와 12세기에는 바누 힐랄, 바누 술라임, 마킬 등 베두인 아랍어 부족이 유입되면서 힐랄 아랍어가 도입되었다.[8] 힐랄 이전 아랍어는 힐랄 이주로 인해 베두인화되어 두 특징을 결합한 혼성 방언이 생겨났다.[9] 바누 힐랄 아랍어는 마그레브의 공용어로 선택되었다.[10] 이 방언은 베르베르어와 포에니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현대 마그레브 아랍어로 발전하였다.[10]

11세기에 약 100만 명의 아랍인이 마그레브로 이주하여 인구 구성과 생활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14] 특히 바누 힐랄은 사하라 인근 남부 지역까지 베두인 아랍어를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4. 특징

마그레브 아랍어의 변종들은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방언(예: 동부 모로코와 서부 알제리, 동부 알제리와 북부 튀니지, 남부 튀니지와 서부 리비아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모로코 다리자와 튀니지 다리자처럼 거리가 먼 방언은 이해도가 낮다. 동부 아랍어 사용자(이집트, 수단, 레반트, 이라크, 아라비아 반도 출신)는 마그레브 아랍어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15]

마그레브 아랍어는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프랑스어 또는 영어 단어를 통합하거나, 일부 계층에서 오래된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스페인어 단어를 현대 표준 아랍어 단어로 대체하며 발전하고 있다. 교육 수준이 높은 상류층은 마그레브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 사이에서 언어 전환을 하고,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스페인어 차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데, 특히 후자는 알-안달루스 시대에서 유래했다. 마그레브 방언은 모두 동사에서 'n-'을 문법적 인칭 단수 접두사로 사용하며, 이는 레반트 아랍어 및 현대 표준 아랍어와 구별된다.

4. 1. 음운론

마그레브 아랍어의 공통 조상은 현대 표준 아랍어와 동일한 음운론을 가지고 있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원시 마그레브 아랍어 모음
rowspan="2" |단모음장모음
전설후설전설후설
iu
eː*oː*
a



'*' 고대 히자지 아랍어의 이중 모음 /ay/ 및 /aw/에서 유래.

원시 마그레브 아랍어 자음
colspan="2" rowspan="2" |양순치경경구개연구개구개수인두성문
plain인두화
mn
파열무성tkqʔ
유성bdd͡ʒ
마찰무성fθsʃx ~ χħh
유성ðzðˤ*ɣ ~ ʁʕ
전동r
접근ljw



'*' 고대 히자지 아랍어 /ɮˤ/ 및 /ðˤ/는 아랍어의 모든 변종에서 서로 병합되었다.

4. 2. 문법

마그레브 아랍어 계통 언어는 인칭을 칭하기 위해 접두사 'n-'을 항상 쓰며 동사와 숫자에 각각 쓰는 접두사가 따로 존재한다. 이는 지금의 아랍어의 형태와 중세 아랍어가 변하여 생겨난 마그레브 아랍어를 구분 짓는 형태이기도 하다.[1] 리비아에서는 이탈리아어의 영향력이 상당히 크며 아랍어의 본 문법에 맞게 변형하여 쓰기도 한다.[1]

국가에 따라서 여러 차이가 있지만 문어로 쓰이는 것은 흔하지 않으며 각 국가에서 쓰이는 표준어가 확립되지 못하여 새로운 어휘 형태의 형성과 소멸 등이 상당히 흔한 편이다.[1] 원시 마그레브 아랍어는 이미 모든 누나와 대부분의 이랍을 잃었으며, 생산성이 없는 부사적 대격을 제외했다.[1]

n- 접두사는 일부 동사 형태에서 1인칭 단수에 추가되는데, 이는 마그레브 아랍어를 다른 모든 아랍어와 구별하는 특징이다.[1]

4. 3. 어휘

마그레브 아랍어 어휘는 대부분 아랍어에서 유래했지만,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아래는 그 예시이다.

  • ذَرْوَكْت (*ḏarwakt*) < ذَا اَلوَقْت (*ḏā al-waqt*)
  • أشكون (*ʔaškōn*) < أَيُّ شَيْء كَوْن (*ʔēš *kōn* < *ʔayy šayʔ kawn*)


리비아에서는 이탈리아어의 영향이 상당히 크며, 아랍어 문법에 맞게 변형하여 쓰기도 한다.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문어로 쓰이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각 국가에서 쓰이는 표준어가 확립되지 못하여 새로운 어휘가 생겨나거나 소멸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5. 다른 언어와의 관계

마그레브 아랍어는 베르베르어에서 차용한 어휘를 포함하며, 리비아 아랍어 어휘의 2~3%, 알제리 및 튀니지 아랍어 어휘의 8~9%, 모로코 아랍어 어휘의 10~15%를 차지한다.[5][16] 베르베르어는 마그레브 아랍어의 기층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

마그레브 아랍어 화자들은 프랑스어(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스페인어(모로코 북부 및 알제리 북서부), 이탈리아어(리비아튀니지)에서 단어를 자주 빌려와 자신들의 방언 규칙에 따라 활용한다.[18] 마그레브 아랍어는 표준이 없고 빠르게 변화하며 인접 언어에서 새로운 어휘를 받아들이는 데 자유롭다. 이는 노르만 정복 이후 중세 영어의 변화와 유사하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라틴어 기층을 가지는데, 이는 비잔틴 제국 시대에 도시 공용어로 사용되었던 아프리카 로망스어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19]

5. 1. 현대 표준 아랍어

الفصحى|al-fuṣḥáar는 마그레브 국가의 정부, 입법 및 사법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이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주로 구어이며 방언이지만,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의 도시 지역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및 광고에 가끔 사용된다.[4]

5. 2. 베르베르어

마그레브 아랍어는 베르베르어 차용어를 포함하며, 리비아 아랍어 어휘의 2~3%, 알제리 및 튀니지 아랍어 어휘의 8~9%, 모로코 아랍어 어휘의 10~15%를 차지한다.[5][16] 베르베르어는 마그레브 아랍어의 기층 언어 중 하나로 여겨진다.

5. 3. 기타 언어

마그레브 아랍어 화자들은 프랑스어(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스페인어(모로코 북부 및 알제리 북서부), 이탈리아어(리비아튀니지)에서 단어를 자주 차용하며,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자신들의 방언 규칙에 따라 활용한다.[18] 표준이 없으며 빠르게 변화하고 인접 언어에서 새로운 어휘를 수용하는 데 자유롭다. 이는 노르만 정복 이후 중세 영어의 진화와 유사하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라틴어 기층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비잔틴 제국 시대에 도시 공용어로 사용되었던 아프리카 로망스어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19]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Arab.-Engl.)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79
[2] 서적 A Dictionary of Moroccan Arabic: Moroccan-English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4
[3] 간행물 Maghrebi Arabic dialect processing: an overview https://hal.science/[...] 2018-09-18
[4] 서적 Du Punique au Maghribi :Trajectoires d'une langue sémito-méditerranéenne http://gerflint.fr/B[...] Synergies Tunisie
[5] 서적 The Non-Jewish Origins of the Sephardic Jew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2-02-01
[6] Q Maltese https://books.google[...] 2013
[7]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2011
[8] 서적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Arab Nation (RLE: the Arab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9] 간행물 Moroccan Arabic https://langsci-pres[...] University of Michigan
[10] 서적 Multiculturalism and Democracy in North Africa: Aftermath of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16
[11] 서적 Arabic Language Handbook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67
[12] 서적 Race and Nation: Ethnic Systems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5
[13] 서적 Africa: A Geographical Stud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12-01
[14] 서적 The Spread of Islam Throughout the World https://books.google[...] UNESCO 2011-01-01
[15] 간행물 Arabic Dialect Identification https://direct.mit.e[...] 2014
[16] 간행물 Substrat et convergences: Le berbère et l'arabe nord-africain https://www.uco.es/u[...] 1999
[17] 간행물 "Le maghribi, langue trois fois millénaire'' de Elimam, Abdou (Éd. ANEP, Alger 1997)" http://insaniyat.rev[...] 1998
[18] 서적 Diglossia and Language Contact: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9] Q
[20] Q
[21] Q
[22] Q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